json object를 response에 write해서 그 결과 값을 가져다 사용하게 해주는 class가 있다.
요건 response의 값의 앞뒤로 이상한 숫자가 붙었을 경우에 'Header'의 내용이다.
servlet에 등록해놓고 호출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는데...
어느 순간 앞 뒤로 이상한 값이 붙어오기 시작했다. 이게 뭐지...??
테스트는 fiddler를 이용하였다.
사진이 좀 작긴 하지만... 잘 보면 response로 날라온 값의 시작과 끝에 이상한 숫자(빨간색 네모)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-_-;
젠장.... 너 도대체 왜 붙는거냐...
위에 찍힌 data를 consol에서 print 해보면 저런 이상한 값은 없는 것이 확인된다.
그리고 어떤 request url에 대해선 저런 값이 붙질 않고 날라오는 경우도 있었다. 악!! 왜...? 왜..
하여튼 response에서 저 값을 붙혀서 뱉는단 소린데.. 왜 뱉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. 그리고 그 의미가 뭔지도 몰랐다. 그러다가 우연히 fiddler에서 'Header' 탭을 보게 되었다.
저 숫자 갑이 붙어오는 경우와 붙어오지 않는 경우 뭐가 다를까 봤더니 'Header'의 내용이 달랐다.
빨간 네모가 다른 부분인데 얼추 짐작하기로 전송됨시롱 encoding이 되었다는 얘기같다.
이럴 땐 고민하지 말고 저걸로 검색이다... ^^;
역시나... 찾았다.
client에게 data를 전송하기 전에 얼만큼 던질테니 숫자만큼 받으라는 일종의 통신신호란다.
마지막의 '0'은 다 보냈다는 신호.
어쨌든 요거 앞뒤에 숫자가 붙어오면 decoding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..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. 음.. 일단 내가 처리하는 부분이 아니니 쌩까고 기다리자.. 문제있음 얘기하것지.. ㅎㅎ
'Dev > java, flex, jsp,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/servlet scope (0) | 2010.03.17 |
---|---|
[펌]비트 연산 (0) | 2009.11.02 |
java string format (소수점 및 콤마표현) (1) | 2009.09.16 |
java sleep (시간동안 수행) (2) | 2009.09.08 |
java 형변환 (1) | 2009.09.02 |